와우 보드는 브레인스토밍을 비롯한 다양한 창의기법을 체계적이고 흥미롭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적인 온·오프라인 연계 아이디어발상 교육기자재입니다. 오프라인 상에서 와우 보드에 있는 그리드(Grid)시스템과 개별 회전하는 3개의 회전판, 주제원판 등을 이용하여 가벼운 브레인스토밍을 비롯하여 PMI, 랜덤워드 같은 다양한 창의적 활동을 더욱 재미있고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와우보드 본판에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아이디어 플랫폼의 주제, 발상 자극물, 와우보드 설명 및 예제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출·연동함으로 오프라인에서 제공하는 한정적인 정보를 온라인을 활용하여 혁신적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Upload NFC tag를 통해서는 오프라인의 아이디어를 온라인 아이디어 플랫폼에 탑재함으로 온·오프라인 아이디어를 온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환상적이고 역동적인 아이디어 발상 경험을 제공합니다.
구성 요소들의 복수의 조합으로 브레인스토밍류(브레인라이팅, 브레인드로잉)을 비롯한 PMI기법, OCU법, 속성열거법, 로터스(연꽃개화기법)기법, 스캠퍼, 랜덤워드, 생각의 디딤돌과 같은 프로젝트기반학습, 문제중심학습, 창의적문제해결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등의 다양한 수업모형에 사용되는 창의기법들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와우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수업 활용 방법 및 사례 발표영상
와우보드 (Wow-board) 개발 배경&필요성
창의성을 통한 혁신적 아이디어는 이제 교육·문화·경제·예술 등 사회전반의 필수불가결한 성장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계와 교육계에서는 창의·인성학습, 스마트 학습, 프로젝트 중심 학습 등으로 자라나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필요는 그 어느 때보다도 커지고 있습니다.
교육계에서는 창의·인성학습, 스마트 학습, 프로젝트기반학습,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등으로 자라나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아울러 이에 수반되는 인성까지도 길러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는 아이디어 발상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효과적인 훈련을 도와주는 브레인스토밍 보드와 같은
창의적 교육을 위한 전문 기자재는 미미한 실정입니다. 색전지나 우드락보드에 포스트잇을 사용하는 방법도 좋지만 이 방법이 최선일까요? 창의적 발상을 좀 더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아울러,
아울러 온-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을 지원하는 제품 및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PC나 모바일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 몇 대의 디바이스만 있는 경우, 또는 모든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사용자 환경에 따라 최상의 아이디어 발상경험과 교육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아이디어 발상 제품 및 플랫폼의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의 강점인 ICT기술을 잘 살려서 온라인 브레인스토밍 플랫폼과 온-오프라인을 연계하는 아이디어 발상 지원 제품을 개발한다면 얼마나 멋질까요?
아직까지 이러한 제품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만들었습니다.
와우보드 (Wow-board) 의 구성
와우보드 (Wow-board) 의 보관 및 운반방법
다양한 창의 기법 활동 지원
프로젝트기반학습, 문제중심학습, 창의적문제해결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등 다양한 수업모형에 사용되는 창의기법들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활용가능 기법: 브레인스토밍류, PMI법, OCU법, SCAMPER법, 속성열거법, 로터스기법,랜덤워드, 생각의 디딤돌 등이 있습니다.
NFC를 이용한 온라인 발상 Data base 지원
오프라인 경험의 확장!!!
본판에 있는 NFC 기능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아이디어발상 플랫폼인 와우아이디어스(wowideas.co.kr)의 브레인스토밍 주제 DB 와 발상 자극물 DB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출·연동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칫 막막할 수 있는 아이디어 주제 선정과 발상을 돕고, 게임형식의 브레인스토밍을 진행함으로 더욱 흥미롭고 풍부한 아이디어 발상 경험을 제공합니다.
오프라인 발상의 온라인 연계 지원
오프라인 창의활동에 이어서 와우보드 온라인이나 와우아이디어스(wowideas) 사이트에 개설한 온라인 창의프로젝트에 곧바로 오프라인 아이디어를 업로드하여 온오프 간 자유로운 연계 발상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브레인스토밍은 Brain + Storming의 합성어로서 여러 사람(5-6인)이 그룹을 만들고 아무런 제약이 없는 편안한 상태에서 자유자재로 공상과 연상의 연쇄 반응을 일으키면서 아이디어를 내어 가도록 하는 그룹 아이디어발상법을 의미한다.
원활한 브레인스토밍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원칙을 잘 숙지할 필요가 있다.
① 최대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도출하려고 한다.
② 자유롭게 생각하고 비판하지 않는다.
③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개선한다.
④ 판단은 마지막까지 미룬다.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쓰기에 의해 아이디어를 기록하는 방식을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이라고 하고 그리기에 의한 아이디어 발상은 브레인드로잉(brain-drawing)이라고 한다. 브레인라이팅은 참가자들이 간편하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기록하여 제시하는 것인데 특히 내성적 성격으로 발표가 원활하지 못한 발표자의 아이디어도 들을 수가 있으며, 누구라고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다소 엉뚱하고 어색한 아이디어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별히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포스트잇에 아이디어를 적으며 발상하는 것은 포스트잇 브레인스토밍(라이팅)이라고 한다.
※ 참고
보통 브레인라이팅은 작은 포스트잇,
브레인드로잉은 그림을 그려야 하기 때문에 큰 포스트잇을 사용한다
아이디어 참고,히치하이킹
③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회전판을 돌려서 다른 친구의 아이디어를 참고하여 아이디어를 낸다.
④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들을 참고하며 마감시간까지 아이디어를 계속 적는다.
아이디어 평가
※ 평가 방법 : 제한 시간은 10분
⑤ 다른 팀원들의 아이디어에 대해 질의 응답한다.
⑥ 개인별로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 3개를 선택한다. 아직 표시하지 않는다.
⑦ 모둠장의 ‘표시’ 신호에 따라 동시에 아이디어에 V 표시한다.
⑧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상위 3개 내외의 아이디어를 선별한다.
아이디어 업그레이드
※ 아이디어 업그레이드 방법 :
⑨ 선택된 3개의 아이디어를 다음 두번째 회전판으로 이동시킨다.
⑩ 선택된 아이디어를 결합시켜서 한번 더 브레인스토밍을 진행한다.
⑪ 이후 진행은 동일하며 마지막으로 평가하여 최종 베스트 아이디어를 선정한다.
※ 모둠 이름에 따라 조구호를 만드는 것도 좋다!
와우보드 브레인스토밍 사용법 그림입니다.
※ 아이디어 발상,참고,히치하이킹 설명 그림
※ 아이디어 평가 설명 그림
브레인라이팅 와우보드 사례 (서울교대 생활과학 수업사례, 2015. 3)
브레인드로잉 와우보드 사례 (서울교대 생활과학 수업사례, 2015. 3)
로터스 발상법에 대한 이해 (Lotus Blossom Technique)
일본 클로버경영연구소의 야수오 마추무라가 하나의 테마로 시작하여 하위테마로 나누고 이 하위 테마를 변화시키는 다이어그램 형태의 발상법이다. 일명 '연꽃개화기법'이라 한다.
특징
문제 혹은 기회가 광범위하게 탐색 될 때까지 원의 형태로서 계속적으로 확대 되어 뻗어 나간다.
기법의 구성요소는 역동적이어서 아이디어는 추진력 있게 바깥쪽으로 나아가며 상호작용요소와 전체시스템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중심주제로부터 발상된 아이디어가 다시금 중심주제가 되어 2차적인 발상을 하고 중심 주제로부터 유발된 새로운 아이디어나 주제를 계속적으로 꽃 피운다.
※ 진행순서
i) 위와 같이 양식을 준비하고 다이어그램 중앙에 중심주제나 문제를 기록한다.
ii) 중앙의 사각형안의 원A~H안에 관련된 아이디어나 적용사항 들을 돌아가면서 기록한다.
iii) 그림과 같이 중앙의 원에서 1차로 발상된 각각의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배치한다.
iv) 새로운 중심적인 주제에 따라 8개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상한다.
v) 가능한 양식을 여러 장 준비하여 완성될 때까지 반복한다.
vi) 아이디어를 평가한다.
로터스 사용법(연꽃개화법) #01
방사형 아이디어 발상
※ 진행 방법 : 제한 시간은 10분
① 중앙에 중심주제나 문제를 기록한다.
② 주제를 중심으로 중앙에서 첫 번째 회전판에 관련된 아이디어나 적용사항 들을 돌아가면서 기록한다.
③ 첫 번째 회전판에서 1차로 발상된 아이디어를 새로운 하위 중심 주제로 하여 두 번째 바깥쪽 회전판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상한다.
④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마무리한다. (명목집단평가 또는 다중평가법 활용)
※ 참고
보통 로터스법은 앞 장에 있는 방식으로 주제를 중심으로 정방향의 확산으로 진행되지만 와우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4~8개의 아이디어로 진행한다.
로터스 사용법(연꽃개화법) #02
아이디어 발상
※ 진행 방법 : 제한 시간은 10분
① 중앙에 중심주제나 문제를 기록한다.
② 주제를 중심으로 중앙에서 두 번째 회전판에 관련된 아이디어나 적용사항 들을 돌아가면서 기록한다.
③ 두 번째 회전판에서 1차로 발상된 아이디어를 새로운 중심 주제로 하여 작은 포스트잇을 돌려 붙여가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상한다.
④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마무리한다. (명목집단평가 또는 다중평가법 활용)
※ 참고
보통 로터스법은 앞 장에 있는 방식으로 주제를 중심으로 정방향의 확산으로 진행되지만 와우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4~8개의 아이디어로 진행한다.
랜덤워드(Random word)는 주제와 전혀 관계 없는 단어를 무작위로 하나 선택하고, 먼저 그 단어에서 연상되는 단어나 이미지를 발상하고 이후 본 주제와 강제로 연계시켜서 아이디어를 내는 강제연상법이다.
참고
반드시 무작위로 단어를 선택해야 하고, 주제와 무관하며, 참가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 때 와우보드의 NFC TIPS 기능 중 ‘글자 TIPS’ 를 사용해도 좋다.
아이디어를 내는 과정에서 적절한 아이디어가 안 나오면 무작위 단어를 교체하여 다시 진행한다.
※ 진행순서
① 주제와 무관한 하나의 단어를 무작위로 선택한다.
② 이 단어를 중앙에 쓴 후, 그 둘레에 그 단어와 연상되는 특성을 15개 내외로 적는다.
③ 본래의 주제를 제시하고 1차 발상된 아이디어와 강제로 연관시켜서 아이디어를 낸다.
디딤돌에 대한 이해 (생각의 피자판)
디딤돌은 강제연상법의 하나로서 랜덤워드(Random word)를 좀 더 흥미롭고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랜덤워드를 이용한 1차 발상 시 대상이나 물건을 영역별로 나누어 발상할 수도 있고 2차 발상 이후 도출된 아이디어들을 유목화 하여 특성파악과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참고
주제는 질문의 형태로 작성한다. 즉 ‘무엇을 하면 ~을/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이다.
※ 진행순서
①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본 주제 질문을 작성한다. 본 주제는 먼저 알려주지 않는다.
② 주제와 무관한 단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본 주제 위에 붙인다.
③ 이 단어를 중앙에 쓴 후, 그 둘레에 그 단어와 연상되는 특성을 4~8개 내외로 적는다.
④ 본 주제를 제시하고 1차 발상된 아이디어와 강제로 연관시켜서 2차 아이디어를 낸다.
⑤ 도출된 아이디어를 정리한다.
⑥ 아이디어를 평가한다.
※ 참고
랜덤워드는 진행자가 Random word pool 에서 주사위를 사용하여 가로*세로 칸에서 뽑을 수도 있고 NFC Tips 기능을 이용하여 진짜 랜덤으로 단어를 뽑을 수도 있다.
디딤돌 와우보드 사용법 #01-02
아이디어 발상
※ 진행 방법 : (NFC TIPS 사용 예)
※ 1차 랜덤워드 디딤돌 발상
①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본 주제 질문을 작성한다. 본 주제는 먼저 알려주지 않는다.(주제원판 안쪽에 숨겨놓을 수도 있다.)
② NFC TIPS로 랜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주제원판에 옮겨 적는다.
③ 주제원판 둘레 중간회전판에 그 단어와 연상되는 특성을 4~8개 내외로 적는다.
※ 참고
랜덤워드는 진행자가 Random word pool 에서 주사위를 사용하여 가로*세로 칸에서 뽑을 수도 있고 NFC Tips 기능을 이용하여 진짜 랜덤으로 단어를 뽑을 수도 있다.
디딤돌 와우보드 사용법 #03
※ 2차 디딤돌 강제발상
④ 디딤돌이 되어줄 단어가 완성되면 본 주제를 제시하여 주제원판 의 랜덤워드 위에 붙인다.
⑤ 본 주제에 따라 1차 발상된 디딤돌 아이디어와 강제로 연관시켜 “(디딤돌)을 연결/결합하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질문하며 2차 아이디어를 내서 가장 바깥쪽 회전판에 붙인다.
※ 참고
도출된 아이디어들이 불만족스러울 때는 랜덤워드를 교체하여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더 도출한다.
디딤돌 와우보드 사용법 #04
※ 아이디어 유목화(계통분류)
⑥ 회전판을 와우보드 원판(바닥판)에서 분리한다.
⑦ 본 주제를 와우보드 원판의 상단으로 옮긴다.
⑧ 도출된 아이디어들을 비슷한 내용으로 분류, 정리하고 분류된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를 다른 점착시트에 써서 그룹의 상단에 붙인다.
※ 참고
도출된 아이디어들이 불만족스러울 때는 랜덤워드를 교체하여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더 도출한다.
랜덤워드의 추출방법 – Random word pool 사용법
랜덤워드(Random Word)는 반드시 무작위로 단어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주제와 무관하지만 학생들이 자주 접하는 단어를 활용해야 효과가 높다.
Random word pool 사용
1) Random Word를 선택하기 위해 각 모둠별로 주사위를 사용하여 2개의 숫자를 추출한다. 처음 숫자는 Random Word Pool 표의 가로 숫자로, 두 번째 숫자는 세로 숫자로 취합한다.예를 들어 좌측의 Random Word Pool 표에서 가로 숫자 3, 세로 숫자 5의 선택된 단어는 ‘과자’이다.
2) Random Word Pool 표에서 Random Word를 선택한 후 디딤돌 표의 첫 번째 원에 랜덤단어를 적는다.
랜덤워드의 추출방법 – NFC Tips 사용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ips 사용
▶ 와우보드 본판 우측에 있는 NFC Tips는 아이디어가 막혔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Text, Image, Question의 자극물을 제공하여 주는 기능이다.
▶ 랜덤워드는 Text tips에서 한국어 학습용 어휘목록 5900자 중 쉬운 A급 명사 497개 중에서 랜덤으로 단어를 추출하도록 만든 것이다.
1) 스마트폰을 NFC에 tagging하고 ‘글자’를 선택한다. 이후 좌측하단의 ‘랜덤워드’를 클릭한다.
2) 하단의 ‘play’ 버튼을 클릭한 후 다시 ‘stop’ 버튼을 눌러 랜덤단어를 추출한다.
3) 추출된 랜덤단어를 디딤돌 표의 첫 번째 원에 적는다.
PMI 기법은 에드워드 드 보노De Bono(1973)가 처음으로 소개한 기법으로 관심과 생각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어떤 문제나 해결책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흥미로운 면을 분리해서 꼼꼼히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감정과 편견을 가지지 않고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면을 생각하도록 하여 최선의 생각이나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참고
P, M, I 에 해당하는 면을 발상할 때는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한다.
PMI기법은 처음에는 안 좋은 의견으로 보였지만 사실은 아주 좋은 의견을 빠뜨리지 않을 수도 있고, 매우 좋은 의견으로 보여 미처 보지 못했던 단점을 생각하게 해준다. 또한 흥미로운 점을 생각하다가 전혀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 진행순서
① 생각해보고자 하는 주제나 해결책(아이디어)을 제시한다.
② 먼저 문제나 아이디어의 P(plus, 긍정, 좋은 점)를 찾아 적는다. 다음은 M(minus, 부정, 나쁜 점), 그리고 I(interesting, 흥미로운 점, 재미있는 점)를 생각하여 열거한다.
③ ) P, M, I를 통해 열거된 생각들을 토대로 본래의 주제나 해결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PMI 활용사례
PMI 주제 예시
①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우게 될 때의 P, M, I를 생각해봅시다.
② 버스 안에 있는 좌석을 모두 없애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P, M, I를 생각해봅시다.
③ 역사: 임진왜란 때 선조가 도성 한양을 버리고 피난 간 것에 대하여 P, M, I로 생각해 봅시다.
④ 매해 여름이면 찾아오는 태풍 활동에 대하여 P, M, I로 생각해봅시다.
⑤ 기쁨이나 슬픔 등의 감정이 갖고 있는 장점, 단점, 흥미로운 점을 생각해봅시다.
PMI법 와우보드 사용법 #01
본판 그리드(Grid) 활용
※ 진행 방법 : 제한 시간은 10분
① 본판에서 회전판을 분리한다.
② 주제(or 아이디어)를 가운데 붙이고 P, M, I 카드를 세 개로 나뉘어 있는 본판 그리드(Grid)에 따라 붙인다.
③ 주어진 주제에 대해
P(Plus 긍정적인 면, 좋은 점),
M(Minus 부정적인 면, 나쁜 점),
I(Interesting 흥미로운 점, 재미있는 점)을
순서대로 각 영역에 생각나는 대로 계속 써서 붙인다.
④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중 평가하여 각각 P, M, I에서 가장 많은 V 표시를 받은 우수 아이디어를 선택한다. 모둠별로 발표한다.
⑤ 또는 개인별로 P, M, I를 통해 열거된 생각들을 토대로 본래의 주제나 해결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성찰노트를 기록한다.
PMI법 와우보드 실제 사용법
특성열거법 와우보드 사용법
특성열거법 준비
① 본판에서 회전판을 분리해서 명사, 형용사, 동사 카드를 중앙부터 본판 우측상단의 대각선 그리드(Grid)에 붙인다.
② 회전판을 보드원판에 결합시킨다.
③ 주제원판에 주제를 기록하여 붙인다.
※ 참고
명사, 형용사, 동사 카드는 중앙부분의 세 개로 나뉘어 있는 본판 그리드(Grid)에 붙여도 된다. (PMI기법 참조)
명사적, 형용사적, 동사적 특성 아이디어 발상
④ 주어진 주제에 대해 중앙에서부터 첫 번째 회전판에 명사적 특성, 두 번째 회전판에 형용사적 특성, 가장 바깥쪽 회전판에 동사적 특성을 순서대로 각 영역에 써서 붙인다.
도출된 특성 비교
⑤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회전판을 돌려서 명사, 형용사, 동사적 특성을 맞추어 비교하여 연관성 있는 특성들을 관련 지어 보거나 전혀 상관없는 특성들을 강제로 연결하여 생각해본다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
⑥ 도출된 특성이나 속성들을 조합하고 비교하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 한다
※ 참고
※ 특성열거법은 희망열거법과 조합하여 열거된 특성에 대한 하나하나의 희망을 제시하면 효과적이다.
결점•희망점열거법 와우보드 사용법
결점/희망점 열거법 준비
① 본판에서 회전판을 분리해서 결점, 희망점 카드를 중앙부터 본판 우측상단의 대각선 그리드(Grid)에 붙인다.
② 회전판을 보드원판에 결합시킨다.
③ 주제원판에 주제를 기록하여 붙인다.
결점 아이디어 발상
④ 중앙 두 번째 회전판에 주어진 주제에 대해서 먼저 결점의 각도에서 모든 문제점을 나열한다.
희망점 아이디어 발상
⑤ 결점에 대한 충분한 발상이 끝나면 이후 나열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희망적인 아이디어들을 발상한다.
* 결점에 나오지 않았더라도 바라는 모든 아이디어를 글이나 그림 등으로 기록하고 평가한다.
추가 활동:결점, 희망점 유목화
⑥ 이후에 회전판을 분리하고 보드원판을 뒤집어서 뒷면에 있는 바둑판 보드에 결점에 대한 희망점 아이디어들을 유목화하여 정리할 수 있다.
☞ 유목화는 희망점열거에서 나온 아이디어들만 가지고 할 수도 있다.
☞ 또는 결점열거법 아이디어에서 중요도를 따져서 우선순위대로 나열할 수 도 있다.
☞ 결점에 대응하지 않는 희망점 아이디어도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므로 간과하지 않는다.
스캠퍼 기법 와우보드 사용법
스캠퍼 기법 준비
① 본판에서 회전판을 분리하고 본판을 뒤집어서 바둑판(Checker board) 그리드(Grid)가 있는 뒷면을 사용한다.
② 스캠퍼 카드(S, C, A, M, P, E, R)를 바둑판의 좌측상단에 차례대로 붙인다.
③ 주제원판에 주제를 기록하여 우측 상단에 위치시킨다.
SCAMPER 아이디어 발상
④ 주어진 주제에 대해 스캠퍼 질문항목에 따라 차례차례 발상한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가능한 한 모든 아이디어를 글이나 그림 등으로 기록한다.
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중 평가하여 가장 많은 V 표시를 받은 우수 아이디어를 선택한다. 모둠별로 발표한다.
5W1H법 와우보드 사용법
5W1H법 준비
① 본판에서 회전판을 분리하고 본판을 뒤집어서 바둑판(Checker board) 그리드(Grid)가 있는 뒷면을 사용한다.
② 5W1H 카드(when, where, who, what, how, why)를 바둑판의 좌측상단에 차례대로 붙인다.
③ 주제원판에 주제를 기록하여 우측 상단에 위치시킨다.
5W1H 아이디어 발상
④ 주어진 주제에 대해 5W1H 질문항목에 따라 차례차례 발상한다. 모든 관련된 관점을 빠짐없이 고려해서 문제나 기회를 보는 시야를 확장시킨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가능한 한 모든 아이디어를 글이나 그림 등으로 기록한다.
OCU법 와우보드 사용법
아이디어 준비
① 먼저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나온 아이디어를 보기 좋게 회전판에 펴놓는다.
어프로치 카드 분류
② 문제해결을 위해 비슷한 접근방향인 아이디어들을 모아서 카드를 분류해 간다. 이때 접근 방향을 적은 카드를 '어프로치 카드(approach card)'라 한다. 어프로치 카드를 작성하여 그룹핑 한 모음 상단에 붙인다.
A5 사이즈 종이에 붙여놓으면 이후에 이동시키기 편리하다.
③ 수집된 카드 군을 그룹별로 점검하고 그 중 대표적인 카드를 제일 윗자리에 놓는다.
O, C, U 분류
④ 본판에서 회전판을 분리하고 본판을 뒤집어서 O, C, U 카드를 부착한다.
⑤ 회전판에 있는 어프로치 카드 군을 O, C, U의 아이디어로 평가하여 자리를 배치한다.
O, C → U 변환
⑥ O → U 변환: O (Original )는 힌트로서 아이디어를 상세히 하여(정교하게 다듬어서) U위치로 이동한다.
⑦ C → U 변환: C (Common) 중에서 U위치로 변환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찾아 발전된 것은 U위치로 이동한다.
KJ법 와우보드 사용법
아이디어 발상
①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나온 아이디어를 보기 좋게 회전판에 펼쳐놓는다. 이를 응시하면서 전체적으로 서로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또는 패턴을 찾는다.
소그룹 구성
② 회전판을 분리하고 보드원판을 뒤집어서 뒷면에 있는 바둑판 보드에 아이디어들을 옮기면서 연관성 있는 아이디어들을 그룹핑한다.
얼마간 응시를 하면, 각 아이디어들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면서 소그룹을 형성하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내용이 비슷하거나, 어떤 관계가 있는 아이디어끼리, 친근감 있는 아이디어들을 모아 소그룹으로 정리한다.
소그룹 키워드 작성
③ 분류된 소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를 새롭게 붙인다.
중그룹 작성
④ 소그룹들은 다시 중그룹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때 각 그룹 사이의 상호관계가 명확해진다.
관계 정리
⑤ 그룹간의 상하 관계나 인과관계 등을 정리하여 발상된 아이디어들을 체계화함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나 통찰력을 얻거나, 2차 아이디어 발상에 활용하거나, 평가에 사용한다.